13.4 송출 모드(Mode)
이제까지 제작모드에서 완성되었던 문자들을 어떤 순서에 의해 어떻게 출력시켜 주어야 영상위에 정확히 슈퍼임포즈(Superimpose)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지 알아본다.
먼저 저장된 File의 Group Name을 먼저 불러내면 첫 번째 파일이름(File Name)이 Next에 준비되고 제작순서에 따라 나머지가 대기하게 된다. Next에 올라온 내용을 확인하고 이상이 없으면 Remote Controller의 Take 또는 Change 버튼을 택하여 Next에 있던 File은 Line으로 보내지면서 Next에는 다음 File이 자동으로 올라와 준비하게 된다.
이때 Line에 있는 내용이 비디오 스위처와 영상합성 기능으로 배경에 슈퍼 되고 제거하면 Take 또는 Change 버튼에 의해 Next의 File은 Line으로 이동되고 Next에는 대기하고 있던 다음 File이 순차적으로 올라온다. 이렇게 반복하여 그 Group File이 모두 송출 되면 다른 Group File을 불러 같은 방법으로 송출한다.
일단 Next(PVW)는 대기단계로 파일 중 어떤 File이나 랜덤(Random)하게 찾아 바꾸어 올릴 수 있어야 한다. 늘 생방송 또는 녹화준비를 위해 순서대로 문자제작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보통이어서 같은 작업의 파일 묶음(File Clip)은 그 순서에 따라 File이 제작되었기 때문에 한 묶음의 일련번호 순서로 송출된다.
그런데 송출 중에도 next file name(주로 Number로 지정)을 랜덤하게 찾을 수 있어 진행표(Que sheet)따라 다음을 신속히 준비할 수 있다. 때로는 비디오 스위처에서 line의 슈퍼상태로 놓아두고 문자발생기 자체에서 직접 슈퍼 순서에 따라 In/Out를 실행할 경우도 있다.
이러한 송출을 쉽게 진행하기 위하여 문자발생기의 Keyboard의 활용 대신 별도의 송출탁(Remote Control Unit)을 준비해 원격조정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13.5 문자발생기와 관련 장비
TV방송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문자발생기의 활용은 다른 영상관련 장비들과 함께 사용한다. 그러나 관련 장비가 없는 경우 문자발생기 입력부에서 배경영상을 받아 합성작업이 실행될 수도 있다.
13.5.1 비디오 스위처(Video Switcher)
문자발생기와 비디오 스위처는 영상의 합성작업에 가장 관련이 깊은 장비다. 물론 Video switcher에 있는 Internal Key 방식과 External Key 방식을 수용하여 작업한다.
13.5.2 키어(Keyer: Linear Keyer) 장치
문자의 영상합성작업이 비디오 스위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생방송 등 현업에서 부담스러워 그 기능들을 분리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Video Switcher의 문자합성 작업을 독립된 키어(Keyer)장치로 분리한 경우다. 뉴스나 오락의 생방송에서 문자의 처리를 비디오 스위처로 할 여력이 없이 바쁜 경우가 많다.
비디오 스위처의 최종 출력을 Keyer장치에 입력시키고 문자발생기의 Fill Video와 Key 신호를 키어장치에서 직접 받아 합성 처리한다. 혹 비디오 스위처의 출력이 프로그램으로 송출될 때 Keyer의 고장으로 송출이 안 될 경우를 생각하여 고급 Keyer는 By Pass 기능이 있어 키어고장으로 방송이 나가지 않는 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13.5.3 비디오 파일(Video File)과 디지털영상효과(D.V.E.)장치
우리가 문자발생기의 Video와 Key 신호를 Video File에 보관해 두고 Video Switcher나 독립된 Keyer 또는 D.V.E.장치에 입력시켜 활용할 수도 있고, 직접 D.V.E.에서 받아 특수효과를 넣어 처리할 수도 있다.
13.6.4 2차원 그래픽스(2D Graphics)
TV방송용 컴퓨터그래픽스 장비에서 배경영상을 받아 문자발생기를 사용할 경우가 있다. 또한 문자발생기의 그래픽기능이 매우 미약하여 컴퓨터그래픽스에서 장식용 그림(Shape)만들고 문자발생기에서 받아 합성해 비디오 스위처에서 keyer를 같이 사용해 합성할 수도 있다. 때로는 컴퓨터그래픽스에서 한글을 받아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생긴다. 컴퓨터 그래픽스장비가 외국에서 만들어진 경우 한글이 내장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