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0

[TV방송 시스템 운용과 영상 제작]에 대한 공부 방법

여기에서 공부할 내용은 [TV방송 시스템운용과 영상제작]이다. 방송국 현장에서 18년, 대학교수로 15년 생활하며 가장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쓴 책이다. 그 내용을 모든 후배들이 공부할 수 있도록 여기에 올렸다. 처음부터 공부할 수 있도록 내용확인 하려면 우선 화면 오른쪽 [TV방송 시스템운용과 영상제작(64)] 항복을 선택하고 맨 아래 1-7번 중에서 7번부터 역으로 선택해 [TV방송의 개요(1)] 처음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겠다.

카테고리 없음 2023.03.19

영상에서 동기신호(Synchronizing Signal)의 필요성

우리가 사진과 달리 영상의 한 화면은 일정한 주사선으로 정해져 있다. 우리가 많이 쓰고 있는 HDTV화면은 1125 선(line)으로 구성돼 있고 그 주사선의 시작과 끝이 정해져 있다. 때문에 1대의 카메라를 사용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동시에 2대 이상의 카메라 영상을 이용해 영상을 만들어간다면 카메라 영상의 주사선이 시작되는 시작점을 똑같이 지정해 주지 않는다면 사용한다면 이어지는 카메라의 영상위치가 일하지 않아 화면이 좌우, 상하로 움직여 완성된 영상을 제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TV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작과정이나 전송방식에서 송신측과 수신측 간에 주사방식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송신측에서 영상을 차례차례로 나누어 주사를 통해 보내지는 것을 수신측에서는 같은..

영상화소(Picture Element)와 주사선(Scanning Line): 추가설명

고급 영상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들어온 피사체의 빛을 3개로 조합된 프리즘을 통해 ,Red, Green, Blue 영상으로 분류하고 각각 3개의 R, G, B 이미지센서(CCD 또는 CMOS)로 받아들인다. 과거 R, G, B의 진공관 이미지 촬상관은 시간이 갈 수록 서로 다른 변화가 일어나 Red, Green, Blue의 화면를 똑 같이 일치 시키는 작업이 자주 필요하여 Registration Chat를 잡아 화면 크기, Horizontal, Vertical을 고르게 정렬작업이 꽤 어려웠다. 서로 잘 맞지 않으면 피사체의 갓(edge)에 red 등 선이 화면에 나타나 문제가 됐다. 지금의 3 이미지 센서는 한 번 정확히 정렬시켜 맞춰 놓으면 전혀 변화가 없게 된다. 즉, 3개의 R, G, B 이미지 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