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방송 시스템운용과 영상제작

12. TV방송의 음향(Sounds)(3)

정구언 교수 2021. 8. 30. 05:30

12.4 오디오 믹서(Audio Mixer)

오디오 믹서(Audio Mixer)를 AMU(Audio Mixer Unit), 또는 오디오 콘솔(Audio Console)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믹서는 크게 나누어 Mono Module, Stereo Module, Monitor Module, Master Module의 4 부분으로 구성된다.

여러 개의 모노 모듈(Mono Module)과 스테레오 모듈(Stereo Module)의 입력 채널이 4, 6, 8, 16, 24, 32, … 등등의 채널(Channel)로 구성되며, 또한 Master Module은 출력채널은 2 또는 4 채널로 구성 된다. 마스터 출력이 2채널인 경우 L, R의 스테레오 형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4채널인 경우 L, R의 2채널은 목소리(Voice)로 사용되고, 나머지 L, R 2채널은 배경이나 효과 음향(Sound)를 사용하게 되어 추후에 목소리나 다른 음향을 바꾸거나 수정할 때 매우 편리하도록 한다.

특히 외국으로 TV방송 프로그램이 반출되는 경우 음향은 목소리(Voice)용 채널만 더빙(Dubbing)해서 사용하면 새로운 오디로 더빙의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어 높은 값을 받을 수 있다.

 

12.4.1 모노 모듈(Mono Module)

Audio Console에서 사람의 목소리(Voice), 또는 여러 악기 하나하나의 음향을 각각 1개의 마이크를 1개의 Mono Module 채널마다 입력시켜 사용한다. 따라서 많은 마이크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때 많은 Mono Module이 필요하다. Stereo Module이 부족하거나 없는 Audio Mixer의 경우 2개의 Mono Module를 묶어 Stereo L, R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런 일례로 녹화기의 스테레오 L, R 출력을 2개의 Mono Module를 같이 묶어 사용할 수 있다.

 

1. Mono Input 선택

오디오 믹서의 모노(Mono)입력 단자에 마이크의 출력 또는 일반 장비의 Audio Line 출력을 입력시켜 사용한다. 이때 입력선택부에서 Mic를 입력시켜 사용할 경우 Line 입력을 Off 시키고, 어떤 오디오 장비의 출력을 받아들일 경우 Line 입력을 On 시켜 받아들인다.

이렇게 선택된 입력은 각각 Pre-amp에서 입력신호 Level(Volume) 조정 간을 조정해 줄 수 있다. 중앙에 있던 조종간을 왼쪽으로 돌리면 점점 입력 Volume Level이 감소되고, 오른쪽 방향으로 돌려주면 입력신호의 Volume Level이 증폭된다. 뒤에 설명되는 Volume Level조정의 Fader와 연관성이 있어 앞에 있는 VU Monitor를 보면서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2. 팬텀 파워(Phantom Power) 선택

마이크 입력신호 중 콘덴서 마이크(Condenser Mic)를 사용할 경우 마이크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디오 콘솔에서 직접 공급받기 위하여 +48V 버튼을 눌러 On 시킨다. 이 +48V 전력을 Phantom Power라고 한다.

이 팬텀파워는 평형방식인 콘덴서 마이크에서만 사용하여야 한다. 만약 일반 불평형(不平型) 마이크 입력에 전원을 가하면 마이크 입력부분에 있는 변화기(Transformer)가 자화(磁化)되어 기능이 저하된다.

 

3. 삽입(Insertion) 선택

오디오 믹서의 주변장치로 이퀄라이저, Echo Box, Limiter, Reverberator 등등의 오디오 효과장치가 있다. 이러한 효과장치와 연결시켜 음향효과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삽입(Insertion)을 통해 음색을 효과장치와 연결해 가공하고 채널로 되돌려 사용한다.

 

4. 위상(Ø: Phase) 반전 선택

음성 입력신호의 주파수 위상(Phase)이 다른 신호들과 반전(反轉)된 경우 위상반전 버튼을 On시켜주면 위상이 반전되어 다른 음향과 같은 위상이 되도록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입력들과 서로 음향의 간섭(干涉)이 일어난다.

 

5. 70Hz 고역 필터(HPF: High Pass Filter) 선택

입력되는 오디오를 사용할 때 보통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를 설정해 주고 있다. 일례로 70Hz HPF을 선택하면 70Hz 이상의 주파수만 통과시키고 그 이하의 나머지 주파수는 걸러져 저음에 들어오는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오디오선과 전원선이 서로 근접해 있으면 전원 주파수 60Hz가 입력되어 잡음이 된다. 이때 70Hz HPF를 선택해 전원주파수 60Hz의 전기잡음을 제거하는 결과를 얻게 된다.

 

6. Equalizer 선택

EQ(Equalizer)를 On시키면 EQ장치가 작동되고, Off시키면 EQ를 BY Pass시켜 사용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EQ장치에 사용여부를 결정한다. 이퀄라이저는 등화회로로 주파수의 응답특성을 바꾸어 주는 장치다. 보통 낮은 주파수의 진폭은 크고 높은 주파수의 진폭은 작게 작용하는데 이를 적절히 조정하여 원음(原音)에 가깝도록 Equalizer를 통해 조정이 필요하다.

높은 주파수(HF)는 20kHz를 기준으로 이득을 가감 조정할 수 있고, 중간 주파수(MF)는 350∼7,000Hz를 기준으로 이득을 가감 조정하며, 낮은 주파수(LF)는 20Hz의 이득을 가감하여 조정해 원음과 부합하도록 음질을 변환시킨다.

마이크의 종류와 환경에 따라 음색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면 음색을 회복하도록 할 수 있고, 필요 없으면 EQ를 Off시켜 사용하지 않는다. 때로는 반대로 음성변조와 같이 원음의 음색을 알지 못하도록 변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EQ도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의 본래 목적은 주파수의 특성을 보정하는 역할이지만 기술적인 면에서 음향의 녹음 중에 예기치 않은 전기적 험(Hum), 주변의 소음 등에 의한 방해를 받고 있을 때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원될 수도 있다.

 

7. 보조출력(Auxiliary send)

콘솔의 각 모듈(Module)마다 프로그램 출력과 보조출력을 동시에 내보내고 있다. 프로그램 출력 외에 여러 개의 보조출력을 사용하여 모니터로 보내거나 Echo, Delayer에 의한 음향효과장치를 추가 사용하기 위하여 내보내질 수도 있다.

신호 레벨은 저항이 ∞인 즉, 0 레벨에서부터 최대 레벨까지 가변될 수 있으며 보통 출력은 음량을 조정하는 Fader의 전단이나 후단에서 사용된다. 또한 Audio Mixer의 Master 출력에서는 프로그램 제작용과 보조출력이 있어 보조출력은 방청객, 견학자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해서 본 프로그램의 출력에 어떤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8. 팬포트(Pan-pot) 선택과 조정

팬포트(Pan-pot)는 Panoramic Potentiometer의 약자로 Mono로 입력된 음향신호를 최종적으로 스테레오 믹싱(Stereo Mixing)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Master의 Left나 Right에 임으로 가변시켜 보내줄 수 있는 기능이다. 팬포트 버튼을 On시켜 조정 간을 중간에 두면 출력은 Master Stereo Module의 Left와 Right에 동일한 음량을 보내주고, 좌우로 조정함에 따라서 Master Module의 L, R 음량이 다르게 보내진다. Off시키면 Master Module의 L, R로 동일한 음향의 크기로 배분한다.

일반적으로 Mono Module에서 1, 3, 5, 7 ‥은 Left로, 2, 4, 6, 8 ‥은 Right로 보내져 스테레오 출력을 만들도록 하고 있다.

 

9. Mono Module의 출력선택 버튼

Mono Module의 최종출력을 Master Module의 어떤 입력으로 보내질 것인지 선택하는 Button이 Master Module 수만큼 갖고 있다. 2개의 Master Module이 있어 Stereo로 L, R을 사용한다면 해당되는 4개의 선택버튼을 사용한다. 보통 TV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은 Voice의 L, R와 음향의 L, R로 분리해 4개의 Master Module를 사용할 수 있는 고급 Audio Mixer를 많이 사용한다.

 

10. PFL(Pre-Fader Listen) 또는 Solo선택

오디오 믹싱을 진행 중이거나 준비할 때 오디오 믹서의 출력에 어떤 영향을 주지 않고 일시적으로 각 채널에 연결된 음을 별도로 확인하기 위하여 페이더의 전단에서 미리 청취해 보기위한 기능을 설정하고 있는 것이 PFL이다. 여러 개의 Module에 세팅된 입력들 중 임의로 선택된 채널의 음(音)만을 확인하기 위한 기능이 PFL 또는 Solo의 선택이다.

Mono Module이나 Stereo Module에서 각각 PFL 또는 Solo선택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미 믹싱이 진행 중에 있거나 다른 음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음향의 입력유무, 음향의 종류, 크기, 질감 등을 확인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될 수 있다.

 

11. 뮤트(Mute) 선택

뮤트(Mute)를 선택하고 안하고는 On/Off 토글 SW로 실행한다. 뮤트가 선택되면 해당된 채널의 출력이 페이더의 위치에 관계없이 Cut되어 Master Module에 음향신호가 보내지지 않는다. Audio Mixing 작업 중 미리 준비된 Module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사용된다.

 

12. Module의 출력 Fader 조정

최종적으로 Mono Module의 출력은 Fader의 조정에 의해 Master Module로 보내진다. 각 채널에서 최종적으로 음량의 크기 변화를 설정할 수 있는 부분으로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조정범위를 ∞저항(0 레벨)으로부터 +12Volume 단계까지 Module의 출력이득을 가변 할 수 있다. 오디오 믹싱의 완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조정 장치이다.

필요에 따라서 어떤 채널에 설치된 Fader를 ∞저항 위치에서 살짝 올려 On시키면 동시에 Key 토글 SW가 동작되어 당시 불필요한 스튜디오의 Speaker를 차단하고, 동시에 스튜디오 내부나 입구를 통제하는 On Air 램프를 동작시켜 프로그램제작 작업 중임을 알릴 수 있다.

 

12.4.2. 스테레오 모듈(Stereo Module)

일반적으로 녹화기, 녹음기, CDP(Compact Disk Player) 등의 이미 제작된 Stereo Audio의 L, R 출력을 동시에 오디오 콘솔 입력으로 받아들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Module이다.

 

1. 스테레오 입력(Stereo Input)

보통 Stereo Audio 장치(CDP, DAT 등)의 출력을 Audio Mixer의 스테레오 채널 L, R 입력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Stereo Module에 입력되는 L, R 각각의 입력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Volume 조정기다. Input Phase 반전선택, Insertion 선택, Mono 선택, 70Hz HPF 선택 등등을 할 수 이도록 하고 있다.

 

2. Mono 선택

보통 Stereo Module은 Audio Input가 L, R로 독립해서 입력되지만 어느 한쪽이 불량해지면 차라리 Mono입력 선택을 On시켜 L, R가 똑같이 입력되어 출력되는 것이 좋다. 이런 경우에 사용한다.

 

3. 보조 출력(Auxiliary Send) 부분

Mono Module에서 설명한 기능과 동일함으로 참조 바란다.

 

4. 밸런스(Balance) 선택

이 밸런스 선택버튼을 On시켜 밸런스를 조정하면 입력된 Stereo Level이 가변되어 재조정된 결과가 Master Module의 L, R로 보내진다.

 

5. PFL(Pre-Fader Listen) 또는 Solo 선택

Mono Module에서 설명한 기능과 동일함으로 참조 바란다.

 

6. 뮤트(Mute) 선택

Mono Module에서 설명한 기능과 동일함으로 참조 바란다.

 

7. 채널 페이더(Channel Fader)

Mono Module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 다만 다른 것은 L, R의 Stereo가 동시에 한 Fader에 의해 조종된다. 이 때 외부 음향장비(CDP, DAT 등)를 Fader에서 Remote Control로 Start, Stop 시킬 수 있는 기능을 살려 사용하면 편리하다. 또한 연결된 장치에 탈리(Tally) 램프까지 동작시켜 현재 장비의 사용 여부를 녹화기 등에 보내 표시해 줌으로써 어떤 장비에 입력되는지 사용여부를 식별하기 좋게 한다.

 

12.4.3 마스터모듈(Master Module)

앞서 이미 설명했지만 TV방송용 Audio Mixer의 최종 Master Module의 출력부는 2개 또는 4개의 Module로 구성되어 있다. 목적에 따라서 스테레오의 L, R 2개 Module만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음성(Voice)의 L, R와 다른 효과음향 등의 L, R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4개의 Module을 준비하고 있다.

Audio Mixer의 최종출력 조정부분으로 보통 스테레오 방식에 의한 출력을 사용한다. 2개의 페이더를 사용하게 되면 Mono나 Stereo Module에서 지정되는 Master Module의 1은 Left, 2는 Right로 Mixing된 음향을 출력시키게 되고, Master Module이 4개의 경우 1, 3번은 Left, 2, 4번은 Right로 각각 받아들여 초종적인 음향을 출력시킨다.

Master Module에서 최종 출력범위의 한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Audio Mixer에 있는 1kHz의 톤 발생기(Tone Generator)의 출력을 받아들여 최대출력 레벨이 0VU(100%)가 되도록 마스터 페이터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Mono Module나 Stereo Module에서 조정해 최종출력을 확인한다. 그럼으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Audio Mixing의 작업이 끝날 때까지 마스터 페이터의 기본설정을 변경시켜서는 안 된다. 이유는 최대출력의 기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12.4.4 모니터 모듈(Monitor Module)

Audio 모니터는 조정실(Control Room)과 스튜디오로 내에서 청취할 수 있도록 분리하고 있다. 조정실의 모니터는 스피커를 이용한 방법과 헤드폰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스피커를 이용할 때 출력의 Volume 조절과 L, R의 Balance를 조정 할 수 있으며, Pre-fader Listen만을 할 수 있는 Volume과 스피커가 따로 있어야 한다.

물론 스튜디오에서 모니터할 수 있는 모니터장치가 따로 존재한다. 그 외에 Talk Back 장치가 있는데 내장된 콘덴서 마이크를 통해서 스튜디오에 육성으로 들려줄 수 있는 Studio 버튼과 마스터 버스에 공급되어 프로그램에 직접 녹음할 수 있는 Slate 버튼이 같이 있다.

이 Slate 버튼은 프로그램의 녹화기에 Sign 등을 넣는 데 활용되고 있다. 프로그램 믹싱 중 잘못 사용하면 프로그램에 동시에 입력되어 잘못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12.4.5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 내의 활용

여기서 말하는 Audio의 다이내믹 레인지라는 것은 어떤 기기(機器)에서 최대커질 수 있는 음량의 dB 값과 가장 작아질 수 있는 dB 값의 범위를 말한다. 참고로 사람이 수용할 수 있는 귀의 다이내믹 레인지는 약 0dB∼140dB 정도라고 한다.

 

12.5 음향효과

라디오의 음향효과는 내용의 배경과 주위환경을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있지만 TV방송 영상에서 일어나는 음향효과는 현실감과 신뢰성을 더해 준다. TV방송 영상에 비춰지는 배경이나 대도구, 소도구 등등이 갖는 음향을 준비한 효과음도 있지만, 연기자의 심리적 상태를 음향으로 표현할 경우도 많다.

이는 연기자의 행동이나 처해 있는 상황을 효과음으로 극적인 표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음향효과는 프로그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가고 있다.

TV방송 프로그램의 전체를 상징하는 테마(Thema) 음향, 과거를 회상하는 회상음향, 장래를 암시하는 암시음향, 연기자의 행동이나 성격을 뒷받침하는 음향, 프로그램의 시작과 끝을 표현하는 음향, 장면의 전환을 알리는 브리지(Bridge)음향 등등 많은 효과음향이 프로그램의 품위를 높여 준다.

 

12.6 음향기기(音響器機)

음향을 기록하고 저장한 후 재생할 수 있는 방법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음향기기(音響 器機)들이 있다. 비디오와 함께 녹음될 수도 있고, Audio만 따로 녹음하고 동기 시켜 재생할 수도 있다. 오디오의 발달과정을 보면 오디오 릴 테이프(Reel Tape)를 사용하다가 카세트테이프(Cassette Yape)를 한동안 사용해 왔다.

그리고 그 후 CDP(Compact Disk Player), Memory Card, USB 등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물론 아날로그 음향처리에서 디지털 음향처리 방식으로 발전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