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방송 시스템운용과 영상제작

14. TV방송 영상과 조명

정구언 교수 2021. 9. 28. 16:52

TV방송 스튜디오나 무대에서 연극 등을 실행하기 위해서 빛이 필요하고 이러한 인위적인 빛을 이용하여 시각적인 정서와 감동을 주는 조명은 기술적인 요소와 예술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TV방송 조명은 무대조명과 달리 눈으로 보아서 아무리 아름답고 화려해도 카메라를 통해서 전달되는 영상이 그대로 충실하게 재현되지 못한다면 만족할만한 조명이라고 할 수 없다. 우리의 눈이 100단계의 콘트라스트를 본다면 카메라를 통한 콘트라스트는 30∼40단계 정도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 의미는 높은 흰색(White)으로부터 검정색(Black)까지 다이내믹한 넓은 콘트라스트 단계로 이루어져야 좋은 영상을 만들어 내는데 카메라의 특성상 그렇지 못하다. 그만큼 카메라의 표현한계가 있다. 때문에 더욱더 조명에 의한 Contrast를 표현할 수 있어야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의 영상표현이 좋아질 수 있다.

 

14.1 TV방송의 영상조명

카메라로 피사체의 영상을 얻으려면 우선 사물을 구별할 수 있는 정도의 Base Light가 필요하다. 따라서 조명의 설계는 카메라의 특성에 맞게 실행하여야 한다. 무대조명의 화려함은 무대 아래에서 눈으로 보는 사람을 위한 것이고, 카메라에 의한 영상조명은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필요하다.

1. 일정한 밝기의 기본조명이 유지돼야 한다.(Base Light 사용)

2. 피사체의 특성에 따라 입체감, 원근감, 영상의 깊이를 표현할 수 있는 조명으로 그림자를 살려야 한다.(Key Light 사용)

3. 밝거나 어둡거나 색온도(色溫度)가 어느 정도 일정하여야 한다.

4. 조명의 연색성(演色性: Color Rendition)이 일정해 색상 재현성이 좋아야 한다.

5. 조명의 광원출력이 시간의 경과에도 변화가 없어야 한다.

6. 점등이 간편하고, 열에 안전해야 하며, 조명밝기 조정이 가능해야 한다.

7. 조명장치의 충격흡수가 좋아야 하고, 전구의 수명이 오래 지속될 수 있어야 한다.

8. 프로그램의 시대적 배경, 계절, 시간, 장소, 환경, 등장인물, 프로그램이 갖는 성격 등등을 고려한 조명이 될 수 있어야 한다.

 

14.2 TV방송의 영상조명 램프

14.2.1 백열전구

필라멘트(Filament)에 전류를 흘려 발열시킴으로써 빛을 발하는 전구로서 실내조명에 제일 많이 사용돼왔다. 백열전구의 단점은 조광기의 전압조정에 따라서 색온도의 변화가 생기고, 발열량이 많다는 것이다. 또한 오래 사용하면 필라멘트의 원료인 텅스텐이 산화되고 그 화합물이 전구의 안쪽 유리 표면에 부착되면서 검게 흑화현상이 발생하고 색온도의 변화를 가져온다.

 

14.2.2 할로겐램프(Halogen Lamp)

기본적으로 백열전구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면서 진공상태의 유리관 내에 할로겐 계통의 원소를 주입하여 점등시키면 관내의 필라멘트의 소재인 텅스텐의 원자가 증발하면서 할로겐 물질과 결합하여 밝은 빛을 발한다.

이 할로겐램프는 발열이 높아서(약 250℃) 주변에 빛 확산용으로 석영 등 재료를 사용한다. 또한 수명이 다할 때까지 색온도(3200 K)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고 흑화 현상이 없으며 수명도 백열전구보다 3배 이상 오래 간다. 전구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손으로 직접 만져서 지문을 남기면 손 지문의 기름기가 타서 유리를 더럽히고 조명의 질을 저하시킨다.

 

14.2.3 형광램프

일반 형광램프는 백열전등보다 4배 정도 밝고 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수명도 백열전구보다 10∼20배 길지만 조명으로 적합하지 못한 이유는 연색성이 나쁘고 조광기를 사용하여 밝기를 조정할 수 없다는 단점 때문이다. 현재는 형광램프의 단점을 개선해 Base Light로 많이 사용되기도 한다.

 

14.2.4 실드 빔 램프(Sealed Beam Lamp)

유리 내벽에 알루미늄 도료를 입혀 반사경을 만들고 앞에 줄무늬 볼록 유리를 사용하여 밀폐시킨 것으로 야외조명의 일부로 사용된다.

 

14.2.5 크세논램프(Xenon Lamp)

크세논 가스의 아크(Arc)를 이용한 방전등으로 자연광과 비슷한 연색성과 분광 분포도도 양호하며, 점등 시간이 필요 없고, 상당히 밝아 원거리 조명에 많이 활용된다.

 

14.2.6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

수은등의 연색성과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할로겐 물질을 주입하여 스펙트럼 분포를 자연광과 비슷하게 만든 램프이다. 이 종류로 HMI(Hydrargyrum Medium Iodide)가 있는데 점등 시간이 짧고 소모 전력과 발열량이 적어 이동용 조명으로 좋다.

 

14.2.7 엘이디 램프(LED Light)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란 갈륨비소 등의 화합물에 전류를 흘려 빛을 발산하는 반도체소자 이다. LED 조명기구는 전기소모가 적고 수명이 길다는 특징이 있다.

조명으로는 그밖에도 수은등, 레이저 광선 등등 많은 조명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특수목적에 사용되고, 일반조명으로는 연색성 등이 좋지 않아 사용되지 않고 있다.

 

14.3 조명기구의 용도와 특징

조명의 종류와 용량에 따라서, 집광(集光)하는 방법에 따라서 스포트라이트(Spot Light), 플러드라이트(Flood Light), 빛의 투영을 위한 이펙트 라이트(Effects Light) 등으로 나누어진다.

 

14.3.1 스포트 라이트(Spot Light)

태양광 같이 직사광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조명으로 방향성이나 명암에 따른 그림자를 강하게 형성할 수 있어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다. 투사한 광량의 조절을 위한 포커스 기능, 수평과 수직각을 조절할 수 있는 팬(Pan)과 틸트(Tilt)의 조정기능, 색상필터를 장착할 수 있고 차광판(Barndoor)을 부착하여 수평ㆍ수직으로 투사광의 범위를 조정할 수 있는 다채로운 조명기구다.

그 구조를 보면 전구의 후면에 오목한 반사경을 장착하고 빛의 초점조정이 가능하도록 돼 있으며, 앞면 유리는 거북이 모양으로 빛의 확산이 잘 되도록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를 부착하고 있다. 주로 키 라이트(Key Light)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일명 모델 라이트(Model Light)라고도 하는데 피사체의 전ㆍ후면에서 주광(主光)으로 사용되는 라이트로 지향성이 강한 조명이다. 조명 기구로 500Watt, 1kW, 2kW 등이 있고 피사체를 따라서 고정시켜 사용하거나 이동하며 사용하는 플로어 라이트(Follow Light)가 있다.

피사체의 앞에서 조명하는 스포트라이트로 보통 Base Light의 2∼3배 밝기를 갖게 되고, 후방에서 사용하는 Back Light로는 피사체의 배경과 밀착되지 않는 느낌을 주어 입체조명으로 인물의 머리와 어깨선을 뚜렷하게 살려주어야 한다.

 

14.3.2 플러드라이트(Flood Light)

조명 빛을 일정한 방향으로 확산하는 조명기구다. 실내의 기본조명을 위한 것으로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넓게 주는 조명기구로 부드러우면서 균일하게 조명된다. 피사체 주변의 심한 콘트라스트를 개선하고 전반적인 밝기를 조정하는 베이스 라이트(Base Light), 세트 라이트(Set Light)로 사용된다. 때로는 지향성이 있는 작은 용량의 Spot Light로도 사용된다.

 

14.3.3 수평 라이트(Horizontal Light)

수평면이나 배경장막에 확산되는 조명으로 위로 향한 Upper Light와 아래로 확산시키는 Lower Light가 있다. 색감을 주기 위하여 색 필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특히 오락 프로그램의 배경의 컬러변화로 다채로운 조명을 할 수 있다.

Upper Horizontal Light는 650Watt 정도의 석영램프(Quartz Lamp)를 사용하여 라이트 패턴에서 호리존트(Horizont) 세트의 하부를 비춘다. 스튜디오 벽면 바닥에서 호리존트 세트의 상부로 조사(照射)한다. 조명 컬러를 다양화하기 위하여 색지인 젤라틴 필터(Gelatine Filter)를 사용하여 극적인 효과를 낸다.

Lower Horizontal Light로도 650Watt 정도의 Quartz Lamp를 사용하여 수평선 등 무한한 거리감을 표현하기 위한 조명이다.

 

14.3.4 이펙트 라이트(Effects Light)

세트의 보완작업으로 특수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조명이다. 구름, 안개, 물결 등의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어떤 추가기구를 사용하여 움직이는 Moving Light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명기구 자체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14.4 사용방법에 의한 조명구분

위에서 스포트라이트(Spot Light), 플러드라이트(Flood Light), 호리존탈 라이트(Horizontal Light), 이펙트 라이트(Effects Light)와 같이 조명을 기능과 특징에 따라 구분할 수 있지만 사용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볼 수 있다.

 

14.4.1 기본조명(Base Light)

피사체의 영상을 기술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하여 전체적인 기본적 영상을 얻어낼 수 있는 정도의 특색 없는 조명으로 전체적인 빛의 확산과 완전히 균일한 조명에 의해 그림자가 전혀 형성되지 않는 조명을 기본조명이라 한다.

영상신호의 노이즈(Signal Noise)가 생기지 않을 정도의 조명으로 영상의 해상도를 높여 주는 조명은 다른 조명에 의하여 보충되지만 피사체를 알아볼 수 있을 정도의 무지향성인 조명이다. 밝기로 본다면 약 300∼1,500 럭스(Lux) 정도가 된다. 간단히 말해 기본 영상화면이 생성되도록 하는 조명이다.

▲사용되는 일반 조명기구

1. Flood Light

2. Scoop Light

3. Bank Light 등이 있다.

 

14.4.2 주(主) 조명(Key Light)

앞서 스포트라이트에서 설명하였지만 지향성이 있는 조명으로 피사체의 특징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조명이다. 일명 모델조명(Modeling Light)이라고도 한다. 피사체를 중심으로 옆 방향으로 약 15∼45°그리고 피사체 위에서 약 15∼45°에서 조명하는 것이 보통이다.

앞서 설명한 Base Light보다 약 2∼3배 정도의 지향성 있는 밝기의 조명이다. 피사체의 그림자를 형성하여 입체감을 만들어 준다.

▲사용되는 지향성 조명기구

1. 500Watt Spot Light

2. 1kW Spot Light

3. 2kW Spot Light

4. 3kW Spot Light

5. Follow Spot Light 등이 있다.

때로는 야외에서 피사체 중 특별한 인물조명을 위하여 5 KW 등 높은 조명기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일례로 광고촬영이나 미인선발대회 등의 야외촬영에서 배경이 밝게 되면 상대적으로 인물이 어둡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조명을 추가해야 한다. 피사체와 카메라 간격이 멀어진 HD나 UHD의 영상인 경우 인물조명은 밝고 더욱 Contrast가 세밀해야 한다.

 

14.4.3 백라이트(Back Light)

피사체의 배후의 상 방향(약 45°)에서 조명을 가하여 피사체가 강조되면 앞으로 튀어나오도록 보이게 됨으로써 피사체인 인물의 머리, 어깨 부분의 외곽선이 살아나 입체감을 살려 준다. 백라이트는 지향성이 있는 스포트라이트를 사용하고 피사체를 잡는 카메라의 렌즈에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반 도어(Barndoor)를 활용하여야 할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보통 피사체의 배후에서 사용되는 다른 조명과 약 45°양쪽 방향에서 Side Back Light와 함께 조명하는 것이 보통이다. 조명의 밝기는 Base Light의 약 1.5∼2배 정도로 Key Light보다 약간 낮은 밝기를 갖는다.

 

14.4.4 눈 조명(Eye Light)

피사체에 고정된 조명을 증가시키지 않고 눈이나 치아의 생동감을 얻기 위한 추가조명으로 간단한 이동용 스포트라이트를 앞에서 조사한다. 그 용량은 대개 150∼300Watt의 Spot Light다.

 

14.4.5 세트 라이트(Set Light)

피사체와 별도로 배경이나 세트를 위한 조명이다. 피사체로 인한 그림자가 부자연스럽게 생기든가 콘트라스트를 감안한 조명이 필요할 경우 사용된다.

▲ 조명기구

1. Strip Light

2, Food Light가 있다.

 

14.5 조광설비(Light Console)

조명은 프로그램 내용이나 진행에 따라서 분위기를 조정해야 하는데 그 조명의 조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지 않으면 매우 조명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조광장치는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이나 SSS(Silicon Symmetrical Switch)를 사용하여 밝기를 가변 할 수 있게 하고, 여러 개의 조명기구를 그룹별로 묶기도 하고,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하여 미니컴퓨터로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있다.

 

14.6 조명의 기본방법

일반적으로 실행하는 조명은 Key Light, Fill Light, Back Light 등을 피사체 중심으로 삼각형 형식에 따라 배치한다. 카메라의 방향과 수평 되게 또는 수직 되게 조명되는 것은 입체감을 감소시키는 결과가 되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전방과 후방에의 키 라이트는 피사체와 약 15°∼45°를 유지하고, 지면과도 15°∼ 45°정도의 각을 유지하면서 투사하고 다른 방향에서는 같은 위치에서 키 라이트의 약 절반 정도 되는 광량의 필 라이트(Fill Light)를 준다.

피사체 앞에서 키 라이트를 1개로 처리하는 이유는 그림자를 오직 하나만 만들게 하여야 자연스런 사실감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Set Light를 잊지 말아야 한다. 전방향의 키 라이트와 필 라이트 중간에 Base Light를 설치하면 만족스러운 조명이 될 수 있다. 이들 Base Light는 필 라이트와 베이스 라이트는 백라이트에서 생기는 그림자를 제거하고 자연스럽게 하는 기본적인 조명을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