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 Patch Board(Jack Field)
TV방송의 부조정실에서 사용하는 영상과 음향은 한 곳에서 종합적으로 검사(Check)하고, 응급조치하고, 영상이나 음향의 진로를 필요에 따라서 바꾸어 줄 필요가 발생하는데 이 때 Route를 변경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영상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Video Patch Board 또는 Video Jack Field라고 하며, 음향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Audio Patch Board 또는 Audio Jack Field라고 한다.
17.3.1 Video Patch Board
▲ Video Patch Board의 설치 목적은
1. Video의 이상 유무 Check
2. Video의 응급조치
3. Video의 Route 변경의 역할이다.
영상장비의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면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빠르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생방송 중일 경우 응급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방송사고 등 많은 지장을 초래할 수 있어 Video Patch Board를 활용한다.
Video Patch Board의 종류로는 구성된 Studio의 영상시스템에 따라 시설도 달라진다. 물론 HD, UHD 디지털 영상 시스템으로 TV방송이 바뀌면서 Video Patch Board의 시설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1. HD Serial Digital Board
2. UHD Serial Digital Board
하나의 Video Patch Board 구성은 위 아래로 24개의 Hole이 있다. 위의 홀은 어떤 영상장비의 출력신호가 들어오도록 연결돼 있고, 아래의 홀은 어떤 영상장비의 입력으로 사용되기 위해 나가도록 되어있다. 물론 연결될 영상장비가 없다면 뒤에 75Ω의 Termination이 돼야 한다.
(1) Video Patch Board의 위와 아래 한 쌍으로 된 홀은 평상시 내부적으로 연결돼 있으며, Patch Cord를 이용하여 그 길을 다른 곳으로 입출력 신호의 길을 변경해 줄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Video Patch Board의 위쪽 Hole에 연결되는 영상은 장비의 출력신호가 연결돼 있고, 아래 Hole은 어떤 장비의 입력신호로 연결된다.
(3) 위쪽의 Hole은 어느 영상장비의 출력만 있을 수 있고, 아래 Hole은 어떤 영상장비로 연결되는 입력이 설치돼 있을 수 있다.
(4) 위와 아래의 Hole에는 영상신호 장비명칭을 부착하여 식별하도록 한다.
Patch Board는 제작회사에 따라서 약간의 구조가 달라서 동일한 Patch Cord를 공동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동일한 회사제품으로 통일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다.
물론 내부구조도 제작회사에 따라 다르다. 내부의 접촉부분이 잘될 수 있도록 금으로 도금을 한다. 앞면을 보면 2개의 Patch Cord를 연결할 수 있는 형태도 있고, 뒷면에서 BNC Connector로 연결할 수 있게 된 Video Patch Board도 있다.
(1) Video Patch Board 앞면 위쪽 hole에 Patch Cord를 꽂으면 절체부분의 스위치에서 아래로 연결되었던 연결이 Open되고, 뒷부분으로 들어온 신호는 Patch Cord를 통해 다른 아래 Hole을 통해 어떤 영상장비로 연결할 수 있다.
(2) 앞면의 아랫부분에 Patch Cord를 꽂으면 절체부분의 스위치에서 위로 연결되어 75Ω에 연결돼 위를 통해 오던 신호는 Ground로 Termination된다. 또한 아래쪽에 Patch Cord를 꽂으면 들어온 영상신호가 뒷면의 아랫부분을 통해서 어떤 영상장치의 입력신호로 공급된다.
17.3.2 Audio Patch Board
Video Patch Board의 역할과 동일하고 사용방법도 동일하다. 다만 Audio는 Left와 Right 신호를 구분해서 받고 보내기 때문에 항시 L, R을 한 Sets로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Patch Cord도 2개를 동시에 사용하여야 한다. 주의할 점은 Patch Cord가 L, R의 신호를 바뀌지 않도록 사용해야 한다.
17.4 영상신호의 Passive Through와 Active Through
패시브 스루(Passive Through = Loop-through)나 액티브 스루(Active Through)를 사용하는 이유는 1개의 영상신호를 둘로 나누어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다. 즉, 1개의 영상신호를 바로 2개의 동일한 영상신호로 나누어 사용하면서 영상분재장치(VDA)를 사용하지 않고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Passive Through는 아날로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법이고, 디지털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방법이어서 Active Through가 사용된다. 일부 아날로그 장치에서 입력신호를 받아들이고 동일한 신호를 Passive Through로 다른 장비에 동일한 영상신호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다른 장비로 연결 공급할 필요가 없을 때는 반드시 75Ω의 임피던스를 가진 터미네이션(Termination)을 사용해야 한다. 그 이유는 리턴 로스(Return Loss)를 방지하기 위해 가공부하(Dummy Load)를 걸어주는 방법이다. 이 터미네이션은 장비 내에 설치 된 것을 선택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외부에서 임의로 75Ω의 터미네이션을 연결해야 한다.
Serial Digital 영상신호의 기기에는 아날로그와 달리 직접 들어오는 영상신호를 루프스루(Loop-through)로 나누어 사용할 수 없고, 액티브스루(Active Through)가 사용된다. 주의할 것은 액티브스루 디지털신호를 부연결해 사용하다가 어떤 이유로 영상신호를 받아주던 장비에서 빼놓게 될 때 반드시 액티브스루(Active Through)에서 선을 제거해야 Return Loss가 생기지 않는다.
디지털영상에서 사용되는 액티브스루(Active Through)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장치내부에서 손상된 디지털신호를 완벽하게 보완하여 재생산(Regeneration: Re-clock)해 주기 때문에 양호한 신호를 출력시켜준다. 다만 Active Through는 장비 자체의 전원이 차단되면 입력 영상신호가 있더라도 들어온 영상신호가 출력될 수 없다.
일단 디지털 장비에 신호가 입력되면 장비 내부에서 Equalizing시켜 열화 된 신호를 원상태에 가깝게 회복시킨 후 입력신호에 적합한 PLL(Phase Locked Loop)에 의해서 완전한 신호로 출력시켜 주기 때문에 매우 훌륭한 영상신호의 출력을 사용할 수 있다.
'TV방송 시스템운용과 영상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기타 TV방송 장비 (0) | 2021.12.02 |
---|---|
17. 영상과음향 시스템의 주변장치(4) (0) | 2021.11.16 |
17. 영상과음향 시스템의 주변장치(2) (0) | 2021.10.30 |
16. TV방송의 컴퓨터그래픽스 활용(4) (0) | 2021.10.20 |
16. TV방송의 컴퓨터그래픽스 활용(3) (0) | 2021.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