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방송 시스템운용과 영상제작

04. TV방송 제작설비 운영(2)

정구언 교수 2021. 1. 17. 16:01

4.5 TV 부조정실(Sub-Control Room) 설비

TV방송 프로그램제각 부조정실은 Floor에 있는 연기자나 출연자들의 영상화면이나 오디오를 받아 조정하여 TV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의 운용실(運用室) 이다. 부조정실의 설비 또한 스튜디오 특성에 따라서 많은 차이가 있다.

그림 4-1 부조정실의 일반 구성

 

TV방송 프로그램제작의 종류나 규모에 따라 시설규모가 다를 수밖에 없다. TV방송 장비는 대개가 고가(高價)여서 시설의 차이를 두고 설치하게 된다. 그렇다면 그 프로그램의 용도에 따라서 부조정실의 설비를 설명하기로 한다.

4.5.1 TV생방송 제작 부조정실 시스템

TV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에는 대부분 사전제작이지만 뉴스, 재해 방송, 선거 개표방송, 커다란 사건사고 등등 시사성((時事性)이 꼭 필요한 경우와 방청객을 수용하고 생방송의 묘미를 살릴 수 있는 연예오락 프로그램을 생방송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그 시설을 생방송제작(On-line Production) 시스템이라고 한다.

때로는 스포츠 중계방송처럼 외부에서 만들어지는 프로그램을 스튜디오로 받아들여 내부에서 완성하게 될 때 동기신호가 서로 다르면 영상전환이나 영상합성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동기신호가 서로 다르면 영상전환이나 영상합성 과정에서 화면이 순간적으로 무너지고, 컬러의 위상의 불일치로 처리과정에서 컬러가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 싱크로나이저(Frame Synchronizer) 장치를 설치하고 사용한다.

또한 생방송에서 가끔 특수효과(D.V.E) 장비를 사용하게 될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은 고정된 단순한 형태(Pattern)의 효과를 기억시켰다가 사용하고 그 형태의 변화는 단순한 변화에서 만족할 수밖에 없다.

부조정실 시스템 장비구성

1. 비디오 스위처(Video Switcher)

2. 오디오 콘솔(Audio Console)

3. 스튜디오 카메라 3: CCU(Camera Control Unit)RCP(Remote Control Panel)

4. 녹화기: 3

5. 문자발생기(CG): 1

6. 조명조정 콘솔

<뉴스, ·오락 등 특별한 부조정실의 경우 추가>

7. 특수효과 장비(D.V.E.): 3채널

8. 비디오 파일(Video File): 1

9. 독립된 External Keyer

10. FS(Frame Synchronizer)

11. 기타

TV방송 뉴스 부조와 쇼·오락, 스포츠를 생방송하는 시설은 일반 TV방송 스튜디오와 구분하여 시설할 필요가 있다. 특히 카메라, 스위처, 문자발생기, 영상효과장비 등등의 시설이 다소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생방송의 대표적인 부조정실은 TV방송 뉴스 생방송 부조정실이다. 뉴스 프로그램 제작과 진행 시스템을 중심으로 좀 더 설명하겠다. 뉴스 스튜디오의 Floor의 특징은 뉴스의 생생함을 표현하기 위하여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앵커의 배경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따라서 많이 달라진다.

TV방송 뉴스 생방송을 분주하게 준비하고 있는 사무실을 배경으로 하는 경우, 밖의 생생한 외부전경을 배경으로 할 경우, 아니면 뉴스의 특성에 따라서 만들어진 세트(Sets)를 배경을 활용하는 경우, 가상현실(Virtual Reality) Sets를 사용할 경우, 대형 TV모니터를 배경으로 사용하는 경우 등이 있다.

TV방송 스포츠의 생방송은 특수한 여건으로 중계차를 활용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따로 설명이 필요하다. 스포츠의 원활한 방송을 위하여 중계차로부터 보내 주는 TV영상신호를 스포츠 생방송용 부조정실에서 가공 후 주조정실로 보내지는 경우도 있다.

TV방송 중계 아나운서와 해설자가 스포츠 영상화면을 보면서 중계할 경우도 있는데 때로는 외부의 영상을 배경으로 크로마키를 이용한 영상합성이 필요할 경우가 많다.

또한 TV방송 쇼·오락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넓은 스튜디오와 그에 따른 특수한 시설을 필요로 하고 그 조정은 부조정실에서 행한다. 현란한 세트의 조명시설의 조정이 영상화면의 품질을 좌우하기 때문에 조명의 특수시설이 매우 중요하다. 오늘날에는 TV방송 뉴스나 오락 프로그램의 배경으로 디지털 대형 TV모니터를 설치하고 그 TV모니터 영상을 배경으로 사용하는 시대가 됐다.

 

1. 영상(Video) 부문

TV방송 뉴스는 프로그램의 성격상 동시성(同時性), 속보성(速報性), 사실성(事實性)을 중요시함에 따라서 녹화방송보다 생방송을 중점으로 하고, 그 시설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물론 뉴스의 취재설비와 진행설비는 엄연히 구분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 부조정실에서 제작된 영상과 음향은 곧바로 TV방송 주조정실로 보내져 송출되는 경향이다.

1) TV방송 영상 스위처(Video Switcher)

TV방송 영상 스위처는 스튜디오에서 영상화면 처리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중요한 장치로서 비디오 믹싱장치(VMU: Video Mixing Unit)라고도 한다. 모든 영상장치로부터 영상자료(Video Source)를 받아서 가공 처리한 후 최종 완성된 영상을 송출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 장비는 영상전환 기능으로 Fade In, Fade Out, Cut, Dissolve( 또는 Mix) 등등의 기본적 기능과 함께 패턴(Pattern)의 종류에 따라 전환되는 영상특수효과 기능도 있을 뿐 아니라 영상합성 방법의 실행으로 배경화면에 글자나 그림의 슈퍼(Super: Superimpose)를 실행하는 Luminance Key, Linear Key, Chroma Key, DME Key 등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DME Key를 포함한 스위처는 일반 부조정실의 영상 스위처보다 기능면에서 우수한 기능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사전 TV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에서도 D.V.E.(Digital Video Effects)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여 타 방송국과 차별화된 프로그램제작을 위해 여러 시설을 필요로 한다.

 

2) 표준 비디오카메라(Standard Video Camera)

보통 뉴스부조에서 과거에 표준카메라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나 오늘날 EFP(Electronic Field Production) 카메라도 많이 채택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경제적인 문제를 고려한 것이다. 뉴스를 위한 카메라는 피사체의 움직임이 적기 때문에 고정된 위치에서 줌인(Zoom In) 줌아웃(Zoom Out), Pan 정도의 움직임이 있을 뿐이다.

오늘날 EFP 카메라의 성능이 탁월하여 종전의 표준카메라(Standard Camera)와 여러 가지 성능 면에서 뒤지지 않는다. 스튜디오 표준 카메라는 야외용 EFP 또는 ENG(Electronic News Gathering) 카메라와 달리 CCU(Camera Control Unit) 또는 RM(Remote Module)RCP(Remote Control Panel)를 따로 갖추고 있어 현업에서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V방송 카메라의 설치 대수는 3대로 충분하다. 물론 선거 개표방송, ·오락 프로그램 등 특별한 경우는 그 이상의 카메라가 동원될 수도 있다. 정면에 설치된 카메라는 특별히 텔리프롬프터(Teleprompter)가 부착되어 앵커나 해설자, 아나운서들이 앞을 보고 원고내용을 직접 글자로 확인하고 읽을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3) 디지털 영상효과 장치(D.V.E.: Digital Video Effects)

TV방송 영상의 특수효과로 사용되고 있는 D.V.E.는 카메라 등 여러 가지의 Live Video 자료를 받아 다양한 영상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D.V.E.를 생방송에서 곧바로 사용하는 데는 조작 등의 여러 제약으로 어려움이 있어 사용할 수 있는 한계를 갖게 된다.

물론 특수효과를 사용하여 사전제작하고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마다 사용할 수도 있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생방송으로 제일 많이 활용되는 것들은 Background(B/G)에 영상을 축소하여 한 화면 속에 23개의 영상화면을 동시에 보여주는 형태의 것이 많다. TV생방송을 하게 될 때 대담하는 두 사람 또는 세 사람을 동시에 등장시켜 시청자에게 이해를 돕도록 진행해야할 경우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 외에 영상화면 전환을 위한 컷(Cut)이나 디졸브(Dissolve), 와이프(Wipe)보다 특수하게 처리하여 시청자의 흥미를 이끌어 내려는 변화를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TV방송 영상의 특수효과는 생방송 전에 여유 있는 시간에 미리 만들어 TV뉴스 진행에 활용된다.

디지털 TV방송 영상효과장치의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스퀴즘(Squeeze Zoom), Page Turn, Wrapping, Rotate, Crop, Perspective, Mosaic, Defocus, Skew, Bends, Freeze 등등과 이를 이용하는 Key Frame Animation 방식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비디오 스위처가 발달되면서 간단한 D.V.E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DME(Digital Multi Effects)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따로 D.V.E.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4) 문자발생기(Character Generator: C/G)

TV방송에서 영상만으로 부족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글자나 간단한 도형을 합성하여 의사전달을 확실하게 한다. 방송내용을 바로 이해할 수 있는 문자는 영상과 합성시켜 사용한다. 특히 뉴스에서는 짧은 시간에 시청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직설적 표현방법으로 문자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문자와 영상합성은 사전 제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TV생방송에서 즉시 송출하는 경우가 많다.

뉴스부조에 있는 문자발생기는 생방송운용으로 순발력을 높이기 위하여 송출이 용이하도록 생방송용 문자발생기와 진행을 순조롭게 하기 위한 PC의 자판기보다 진행만을 위한 원격 송출탁(Remote Controller)이 따로 필요하다.

뉴스 프로그램의 생방송 준비는 극히 짧은 시간 내에 문자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취재기자들의 계획에 의하여 구성되는 TV뉴스는 외부에서 촬영된 비디오와 컴퓨터그래픽스에 의한 영상삽입 등으로 거의 완성되는 과정에서 문자의 보충 설명, 강조 등을 위한 작업이 많다.

TV뉴스의 생방송 처리를 위한 준비가 면밀해야 한다. 따라서 짧은 시간에 많은 취재기자들의 요구사항을 수용하기 위하여 순발력 있는 문자발생기의 운용요원도 필요하겠지만 여러 대의 문자발생기를 동시에 사용하여 단시간 내에 제작하고, 하나의 창구로 일원화하여 송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성되지 않으면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송출창구인 파일서버(File Server)를 중심으로 여러 대의 문자발생기를 네트워크(Network)로 묶어 문자데이터를 어디서나 즉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운용이 필요하다.

 

5) Video File(Still Store)

비디오 파일(Video file)은 과거 정지영상을 저장한다고 해서 스틸 스토어(Still Store)라고 명명했으나 요즈음에는 움직이는 동영상까지 저장하고 있어 방송자료를 저장하는 스틸 스토어(Still Store)에서 비디오 파일의 개념으로 바뀌고 있다.

현재의 비디오 파일은 필 비디오(Fill Video)와 키신호(Key Signal)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어떤 배경과 합성해 출력시킬 수 있는 비디오 파일이 등장했다. TV뉴스를 진행하는 앵커 옆에 넣는 이펙트(Window Picture)의 슈퍼에서 그 모양이 다양화(Free Style)되고 있다. 컴퓨터그래픽스 장비로 필 비디오(Fill Video)와 키신호(Key Signal)를 동시에 만들고 저장시켜 생방송으로 배경화면에 바로 합성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해졌다.

 

6) TV방송 영상 녹화기(錄畫機)

TV방송 영상과 음향을 수록하고 재생하기 위한 장비로서 TV뉴스의 일부를 사전 제작하여 완성된 뉴스를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짧은 뉴스가 많아 여러 대의 녹화기로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

 

7) TV방송 영상감시 모니터(Wall Monitor)

TV방송 영상 스위처의 PVW(Preview), PGM(Program)등은 물론 각각 장비의 영상출력 상태를 확인하고 생방송이나 사전제작 과정에서 참여한 스텝들이 확인하고 감시하기 위한 월 모니터(Wall Monitor)들이 설치되어야 한다.

 

8) Video Routing Switcher

Video Routing Switcher는 용도에 따라서 기능이 다를 수 있다. TV방송 영상과 음향을 동시에 Cut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때로는 영상만을 사용하여 Video Switcher의 입력신호(Primary Input)로 수용할 수 있는 것도 있다.

Video Routing Switcher는 영상입력의 보조역할로 활용될 수도 있고, 때로는 디지털 영상효과(D.V.E.) 장치의 입력신호로 사용되기도 한다. Video Switcher는 보조뱅크(Auxiliary Bank)로 활용되기도 한다.

 

9) 동기신호 발생기(Synchronize Generator)

TV방송장비들 간에 수평과 수직 주파수의 타이밍(Timing)과 컬러위상을 일치시켜 주지 않으면 영상의 처리의 과정에서 영상이 흔들리거나 컬러의 변화 등 불안정한 상태가 일어날 수 있다.

특히 수평동기신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영상화면이 Cut될 때마다 영상화면이 좌우로 움직인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동기신호 발생기에서 출력된 동기신호를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맞추어 사용하여야 한다.

이때 동기신호 발생기를 부조정실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주조정실의 Master Sync Gen.에서 출력을 받아 입력해 사용한다면 동기신호를 일치시킬 수 있어 서로 연관을 가지고 TV방송 영상을 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조정실의 동기신호를 받아 재생산(Regeneration)된 동기신호를 부조정실에서도 동기 시켜 사용한다.

 

10) 프레임 싱크로나이저(FS: Frame Synchronizer)

TV방송 스튜디오의 모든 영상장치는 동기신호발생기(Sync Gen.)에서 동일한 동기신호를 받아 운용되고 있지만 멀리 떨어진 외부에서 들어오는 TV영상신호와 스튜디오의 영상신호를 같이 사용하려고 했을 때, 입력되는 영상의 비동기신호를 스튜디오 영상과 동기 시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외부에서 오는 비동기신호를 스튜디오와 동기 시켜 일치하도록 해 주는 동기신호 변환장치를 FS(Frame Synchronizer)라고 한다.

대부분 아날로그 FS장치는 동기역할 이외에 Video Level, Black Level, Chroma Level, Hue 등 조정할 수 있는 가능도 포함돼 있다. FS는 외부에서 받아들여지는 영상이 어떤 이유로 인해 신호가 단절될 때 출력되던 바로 직전의 영상을 정지영상으로 유지하는 기능이 있어 들어오는 영상의 단절사고를 형식적으로나마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특별한 기능도 내포하고 있다.

 

11) 리니어 키어박스(Linear keyer box) 장치

TV방송장치는 배경영상에 문자를 합성하기 위한 External Key기능의 일종으로 TV영상 스위처에 이 기능이 포함된 경우가 많지만 효과적인 운용을 위하여 따로 독립시켜 협력하는 하나의 독립된 리니어 키어 박스(Linear keyer box)운용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생방송을 진행하면서 문자의 슈퍼업무가 많이 이루어지는데 비디오 스위처에서 다른 작업과 동시에 리니어 키어를 진행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TV방송 뉴스 부조정실에서는 영상송출의 종단에 리니어 키어 박스를 따로 설치하고 사용한다.

리니어 키는 배경에 합성되는 글자나 그림을 더 명확하고 선명히 처리하기 위해 문자의 배경에 추가되는 장식용 부분배경으로 글자를 받쳐주는 밴드(Band) 등을 많이 사용한다.

리니어 키어는 이 문자의 장식용 부분배경의 투명도를 조정할 수 있다. 문자의 장식용 부분배경 또한 슈퍼로 사용해야 되는데 그 장식용 부분배경의 키 신호를 미리 문자를 제작할 때 같이 만들어 투명도를 결정할 수 있다. 원래 배경과 합성될 때 반투명하게 할 수 있어 영상화면의 답답함을 방지해 준다. 자세한 설명은 비디오 스위처 부문에서 참고하기 바란다.

 

12) 카메라 텔레프롬프터(Teleprompter)

TV방송 뉴스를 진행하는 뉴스앵커는 가지고 있는 원고를 내려다보게 되면 시청자와 눈을 마주칠 수 없어 신뢰도와 친근감이 떨어진다.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고안된 것이 텔리프롬프터(Teleprompter).

일반인들은 앵커가 어떻게 그 많은 원고를 보지 않고 말할 수 있는지 놀라워한다. 그러나 원고를 다른 흑백 카메라(해상도가 좋기 때문)로 잡거나 문자발생기로 영상화한 후 카메라 렌즈 앞에 특수거울을 부착하여 카메라를 바라보고 있는 동안 앵커가 내용을 볼 수 있게 해줌으로써 마치 시청자를 응시하고 이야기하는 것처럼 진행할 수 있다.

 

13) 2-D 컴퓨터 그래픽스(Computer Graphics)

2차원 컴퓨터그래픽스 장비는 생방송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통상적으로 필요한 영상화면을 미리 제작하여 Video File에 저장하고 사용한다. 완성된 영상(Normal Video), 또는 슈퍼용 영상(Superimpose Video)을 구분해 만들고 비디오 파일에 넣어 주면 사전제작이나 생방송에서 활용할 수 있다.

문자발생기나 컴퓨터그래픽스 장비는 그림과 글자를 다 사용할 수 있다. 문자발생기는 문자제작에 강한 반면 컴퓨터그래픽스 장비는 그래픽스에 강하다는 차이가 있다.

 

14) TV뉴스 전용편집 송출장치

TV방송 뉴스를 진행하기 위해 사전 제작된 프로그램은 녹화기를 이용해 재생하며 진행되기도 하지만 TV방송 뉴스의 준비를 위해 전용편집·전용송출 장치를 구비해 놓고 사용하면 매우 편리하다. 밖에서 ENG로 촬영된 영상과 음향을 뉴스로 사용하기 위해 편집이 필요하다.

주로 녹화기 2대를 1 : 1 편집을 준비해 사용하나 그보다 뉴스 전용편집·전용송출 장비로 논리어(Non-linear)편집 시스템을 활용하여 바로 준비해 전용송출장비로 바로 보내질 수 있다. 특수하게 제작되어 입력과 편집은 여러 곳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고, 완성된 편집물은 송출터미널로 넘겨져 TV뉴스 생방송 진행에 따라서 찾아 실행된다.

 

15) Video Patch Board, VDA

비디오 패치보드(Patch Board)는 영상의 진로를 바꿔 주기도 하고, 영상의 점검(Check)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시설이다. 또한 하나의 영상을 필요에 따라서 여러 곳에서 동시에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 영상을 분배해야 한다. 1개의 영상입력으로 68개의 동일한 영상신호로 나누어 분배할 수 있는 VDA(Video Distribution Amplifier)가 필요하다.

 

16) 조명 조정콘솔

스튜디오 Floor의 조명을 원활히 조정할 수 있는 장치가 조명콘솔이다. 조명등의 하나하나 또는 그룹으로 묶어 끄고 켤 수도 있고 조명밝기를 조정할 수 있는 원격조정 장치다.

 

17) 인터컴(Intercom)

연출자(PD)와 보조연출자(AD), 또는 FD, 카메라맨 등의 플로어에 있는 스텝(Staff)들 간에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져야 프로그램 사전제작은 물론 생방송도 원만히 진행할 수 있다. 영상 장비들이 아무리 있어도 스텝의 운용에 따라 모두가 결정된다. 따라서 서로의 의사소통이 단절 된다면 어떤 일도 원활히 할 수 없다. 매우 중요한 시설이다.

 

2, 음향(Audio) 부문

라디오 방송에서는 오디오의 역할이 전부이지만 TV방송에서는 영상보다 소홀히 할 수 있다. 그러나 TV영상에서 음향이 제거된다면 완성된 프로그램이 될 수 없다. 음향은 영상의 부족함을 채워주고 의사전달로 시너지효과를 갖고 있음을 생각할 때 매우 중요시하여야 한다.

 

1) 오디오 믹서(Audio Mixer: Audio Console)

TV방송 영상 스위처가 영상의 종합적 중심역할을 하고 있다면 음향의 종합적 중심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오디오 믹서(Audio Mixer). 이를 오디오 콘솔(Audio Console) 또는 AMU(Audio Mixing Unit)라고도 하는데 마이크를 비롯하여 다른 음향장치에서 출력되는 모든 음향신호를 수용하고 가공처리 후 출력시켜 영상과 부합시켜 시너지효과를 주는 장치이다.

TV방송 영상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은 여러 면에서 다루어지지만 음향의 역할을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다. 비디오만으로 내용을 정확히 전달할 수 없다.

 

2) 마이크(Microphone)

물리적인 음향을 전기적인 형태로 바꾸어 주는 장치가 마이크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이러한 마이크장치는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서 많은 종류가 있다. 유선 마이크, 무선 마이크, 지향성 마이크, 무지향성 마이크, 정전용량(Condenser) 마이크, 다이나믹(Dynamic) 마이크 등등은 환경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해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3) CDP(Compact Disc Player)

과거 LP판을 사용할 때는 Turn Table을 사용했지만 오디오 매체의 발전으로 그 형태가 여러 가지로 바뀌고 있다. 그 중 하나가 CDP 이다. 또한 디지털신호의 발달로 오디오 장치도 디지털 장치로 발달하면서 CDP도 제외되고 여러 가지 형태의 디지털 오디오장치가 개발돼 사용된다. 디지털 메모리(Memory) 장치가 크게 활용되고 있다.

 

4) 앰프(AMP)와 확성장치(Speaker)

음향은 눈으로 확인하는 것보다 귀로 듣기 위하여 확성장치가 필요하다. 물론 TV방송 프로그램의 Audio인 음향은 목소리(Voice)와 음악, 효과음으로 영상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데 반드시 확성장치가 필요하다.

 

5) 음향효과 처리 장치

디지털 오디오 믹서가 개발되면서 에코 박스(Echo Box), 이퀄라이저(Equalizer),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리버브레이터(Reverberator) 등을 내부에 수용할 수도 있고, 특별히 외부에 설치된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6) 인터컴(Intercom)

Floor에서 마이크를 다루는 마이크맨(Mic man)과 부조정실에 있는 오디오 콘솔을 조정하는 오디오맨(Audio man)과 긴밀한 연락체계가 반듯이 구성되어있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출연자의 목소리(Voice)를 제대로 받아 조정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