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방송 시스템운용과 영상제작

19. TV방송의 미학적 표현(2)

정구언 교수 2021. 12. 15. 16:15

19.4 TV방송 영상에 대한 지각작용

아무리 영상의 변화를 시도해도 인간은 평상시 주위에서 보고, 듣고, 느껴왔던 경험적 지각이 피사체의 형태, 크기나 색상 등 인식을 바꿀 수 없다. 출입구가 잘 정리된 상점이나 식당은 어쩐지 좋은 물건, 좋은 음식이 준비된 것 같은 지각을 갖게 된다.

이러한 지각작용은 경험적 지각에 의해 미치는 영향이다. 잘 포장되면 내용이 더 좋은 것처럼 인식된다. 담고 있는 내부내용과 포장의 표리(表裏)가 심하면 우리는 실망하기도 하지만 포장이 잘되어야 내부의 내용 이상으로 좋은 감정을 갖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영상이 담고 있는 내용이 돋보이기 위해서 미학적 표현이 영상에 대한 지각을 강하게 표출시킬 수 있다.

 

19.4.1 사물의 크기와 속도에 대한 상대적 인식

TV방송 영상이나 영화 영상이 일반적으로 살면서 경험한 여러 물체(대상: Objects)의 크기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영상화면을 아무리 크게 또는 작게 화면변화를 주면서 영상구도를 설정한다 해도 인식되는 것은 피사체가 가지고 있는 원래형태 그대로만 느낄 따름이다. 사람을 아무리 크게 또는 작게 영상화한다 해도 거인이나 소인으로 인식하지는 않는다.

여러 가지 미니어처(Miniature)를 제작해서 영상에 활용해도 누구하나 이상하게 생각지 않고 받아들인다. 잘 모르는 피사체는 다른 실물의 크기와 비교해서 크기를 판단한다. 손에 들고 있는 물체는 손의 크기를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비교해서 물체의 크기를 가늠한다. 즉 이미 인식하고 있는 주위와 피사체를 비교함으로써 피사체의 크기를 인식한다.

피사체의 이동에 대한 속도감 또한 상대적 비교에서 얻어진다. 정지된 건물을 빠져나가는 사람, 자동차 등이 이동하는 피사체의 속도를 상대적으로 인식하여 알지만, 이미 지각된 비행기, 고속철 등은 다른 피사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다는 것을 지각하고 있다.

19.4.2 영상의 크기에 대한 에너지의 지각

피사체의 화면구도를 크게 잡으면 장중하고 무게감 있게 느껴진다. 영상은 작은 화면으로 볼 때보다 영화관에서 크게 볼 때 같은 영상화면이라도 느낌이 달라진다.

영화 <지상 최대의 작전> 중 노르망디 상륙작전의 배경 등을 극장에서 큰 영상으로 볼 때는 화면에서 주는 강한 에너지 때문에 장엄함과 장대함 등으로 압도 되지만, 작은 텔레비전 영상을 통해서 감상할 때 그러한 느낌을 얻기에는 역부족이다.

1959년 제작된 윌리엄 와일러 감독의 <벤허(Ben-Hur)>에서 15분 동안의 대전차 경주를 작은 텔레비전 영상화면으로 시청하면 극장의 큰 스크린에 의한 압도적인 스펙터클한 에너지를 얻기 어렵다.

 

19.5 영상화면 틀(Frame)의 장력(張力)

영상화면의 한계를 결정짓는 TV Set이 갖는 틀의 갓(Edge)은 가까운 부분에 있는 영상물을 끌어당기는 장력이 있다. 피사체인 인물을 잡을 때 버스트 샷(Bust Shot), 웨이스트 샷(Waist Shot), 니샷(Knee Shot) 등에서 헤드룸(Head Room)을 거의 없이 잡는다면 프레임의 윗부분에 머리가 착 달라붙은 것 같이 느껴져 화면의 불균형감각을 나타내면서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

반대로 헤드룸(Head Room)을 너무 많이 주어 영상의 아래쪽으로 치우치면 프레임의 밑에 있는 갓(Edge)쪽으로 끌어당기는 느낌으로 또한 불균형이 부자연스런 느낌을 준다. 화면의 가장자리 쪽으로 피사체를 당기는 힘을 갖는 모서리는 특히 강한 장력을 받는다.

 

19.6 화면의 황금분할

그 동안 우리 생활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평면구도를 구성할 때 가장 잘 어울리는 것이 황금분할(黃金分割)에 의한 구도라고 한다. 하나의 선분 AB가 있을 때 그 선분상의 한 점을 P라고 한다면 그 P점을 어디에 두는 것이 가장 좋을까? 나누어진 선분 AP와 PB 간에는 다음과 같은 수식이 주어질 때 황금분할이 되었다고 한다.

(AP)² = BP × AB

BP : AP = (√5+1) : 2 = 1: 1.61903…을 황금비(黃金比) 또는 외중비(外中比)라 한다. 황금비는 고대 그리스에서 발견되었고, 가장 조화가 잡힌 비(比)로서「신성비례(神聖比例)」라고 할 정도로 중요시되었다.

특히 시각(視覺)에 사용되는 도형이나 입체 등에서는 이 비율을 많이 이용해 왔다. 자연의 조화가 잡힌 형태를 중심으로 예를 들면 잎맥(葉脈), 종자의 씨앗 형태, 조개껍데기 등과 우리가 사용하는 엽서, 담배 갑, 명함의 치수 등도 두 변의 비가 황금비에 가깝도록 제작되어 왔다. 영상을 촬영할 때도 이 황금비율을 벗어나는 구도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19.7 조명의 심리적 표현

조명은 피사체의 기본적 형태와 위치를 알려준다. 기본조명(Base Light)에 의해 물체의 기본적 형상을 나타내고, 주광(Key Light)에 의해 물체에 투영되는 그림자로 인해 물체의 특징을 알게 할 뿐만 아니라 입체감 등의 이미지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책상 위에 어떤 물체가 있을 때 그림자에 의해서 책상 면에 붙어 있는지, 책상 위에 매달려 있는지 그림자 형태로 피사체에 대한 형태가 2차원 또는 3차원의 어떤 것인지 까지도 표현될 수 있다.

 

19.7.1 조명의 영상의 질감 표현

조명은 공간표현 기능과 함께 질감표현 기능의 연관을 맺고 있다. 조명에 의해서 인간의 촉각을 간접적으로 느끼게 하는 기능이 있다. 주름 잡힌 커튼을 옆에서 스포트라이트(Spot Light)로 비춘다면 표면에 그림자가 생기면서 주름이 강하게 강조된다. 그러나 플러드라이트(Flood Light)를 앞에서 정면으로 비추면 커튼의 질감표현이 잘 나타나지 않게 된다.

노인의 얼굴을 조명할 때 주름 잡힌 얼굴을 강조하려면 스포트라이트를 이용해서 거칠게 표현되도록 해야 하고, 아름다운 여인의 부드러운 얼굴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플러드라이트를 보조로 사용해서 부드럽게 조명해야 한다.

 

19.7.2 조명에 의한 때(시간)와 계절의 표현

조명에 의해 물체의 그림자를 적절히 조종함으로써 때나 계절을 구분하도록 한다. 즉 밤과 낮, 아침과 저녁, 겨울과 여름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봄날은 주조명과 기본조명에서 콘트라스트를 약하게 처리하여 그늘이 약하고, 여름은 주조명과 기본조명에서 콘트라스트를 강하게 함으로써 강렬한 표현이 된다.

조명과 함께 시간을 나타내는 효과음향이 있다. 닭의 울음, 새소리는 새벽을 연상시키고, 귀뚜라미, 낙엽소리는 가을을 생각하게 하며, 올빼미 우는 소리는 밤을 나타낸다.

밤의 표현을 위해 배경이 잘 보이지 않게 하고, 부분조명을 이용하여 배경의 일부만을 확실하게 처리하고, 명암대비(Contrast)는 강하게 해 콘트라스트 단계를 줄이고 그림자는 강하게 표현되어야 밤 신(scene)을 느끼게 한다.

낮의 표현은 배경을 확실하게 하고 콘트라스트의 단계를 많게 조명한다. 배경을 확실하게 한다는 의미는 카메라의 초점심도를 깊게 해서 앞뒤 모두가 잘 보이게 한다. 반면 흐린 날은 콘트라스트를 적게 처리해서 마치 평면조명과 같이 해야 한다. 실내와 실외가 같이 잡히는 구도라면 밤에는 실내가 실외보다 밝아야 하고, 낮일 경우 반대로 처리하면 실내가 덜 밝아야 한다.

아침과 저녁은 그림자를 길게 하고 한낮의 그림자는 짧아야 한다. 새벽은 색온도를 높여 영상이 푸른 색상을 띠게 하고, 저녁은 색온도를 낮게 하여 붉은 색상을 많게 한다. 대낮의 직사광이 없는 부분의 표현은 그림자가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배경(벽, 소품 등)에 엷은 그림자를 만들 수 있게 한다.

계절적 감각은 배경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조명에 의해 겨울 Scene은 여름 Scene보다 그림자의 길이를 조금 길게 보여주는 등의 표현이 필요하다.

 

19.7.3 조명의 암시적 표현 기능

일반적으로 Key Light를 이용한 하이 앵글(High Angle) 조명이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로 앵글(Low Angle) 조명은 비정상적으로 무섭거나 유령처럼 느끼게 된다. 이러한 조명의 효과는 인물의 성격과 심리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조명의 변화를 주어 정상적인 조명에서 반전되는 조명으로 바뀌면 시청자는 무엇인지 불길한 예감을 갖게 되고 조명이 반대로 바뀌면 평화로운 안정된 내용으로 전개되는 것을 예감할 수 있다.

이때 음향이 가미되면서 효과는 더욱 커진다. 극적인 표현의 조명으로는 경찰차의 회전조명, 춤추는 파티장의 Beam Light와 Mirror Ball 조명, 형무소의 Search Light 등이 있는데, 심리적 기능을 조명으로 한층 증가시킬 수 있다.

 

19.7.4 명암대비가 큰 조명의 지각

일반적으로 명암대비라고 하면 콘트라스트(Contrast)를 생각하는데, 콘트라스트가 강하게 조종된 밝고 어두운 조명의 조화를 말한다. 이러한 조명은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극적인 강한 이미지를 표현하게 된다.

즉 Key Light를 피사체에 부분 조명하여 빛의 지향성을 강하게 함으로써 얼굴의 특징, 의상과 소품의 특성과 질감을 강조한다. 강한 조명의 계단은 높낮이에 대한 강한 에너지와 펼쳐지는 확산 속도감을 갖게 된다.

 

19.7.5 명암대비가 적은 조명(Flat Light)의 지각

조명의 콘트라스트를 적게 하는 확산조명을 활용하여 엷게 처리하는 방식으로 연기자의 움직임이 많게 되면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주로 TV방송 영상은 명암대비가 적은 평면조명이 많이 쓰인다. 이 조명은 입체감이 잘 살지 않고 따분할 수 있다. 확산된 조명은 에너지도 확산되어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는 있다.

이러한 평면조명은 진실, 청결, 행복감 등의 감정표현에 적합하다. TV뉴스 스튜디오의 진실성, 병원 같은 곳은 청결해 보여야 하고, 평화로운 가정의 안방은 행복감이 있어야 하는데 이 경우 평면조명이 효과를 볼 수 있다.

 

19.7.6 명암이 높은 조명(High Light)과 낮은 조명(Low Light)

평면조명 중에도 전체적인 분위기의 높은 조명(High Light)과 낮은 조명(Low Light)이 있다. 앞서 기술한 뉴스 스튜디오, 교양제작 스튜디오, 병원 등은 높은 조명을 요하고, 감옥, 동굴, 공포감을 요구하는 장소의 조명은 낮은 조명으로 처리된다.

 

19.7.7 실루엣 조명(Silhouette Light)

평면조명과 명암대비 조명을 함께 사용하여 그 특성을 모두 살려 주면서 활용할 수 있는 조명이다. 피사체의 배경만을 조명하고 인물의 조명은 하지 않는다. 춤동작 등 신비감, 로맨틱한 분위기, 신분노출 방지 등에 활용된다.

 

19.7.8 영화조명과 TV방송 영상 조명의 차이

일반적으로 영화조명이나 TV방송 영상 조명은 근본적으로 다를 수 없다. 그러나 영화촬영 방법은 주로 한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관계로 장면마다 조명을 면밀히 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다시 말하면 장면마다 조명기구를 자유스럽게 배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대의 카메라를 동원해 거의 동시에 같이 사용하면서 바뀌는 장면을 일일이 정밀하게 조명을 수정해 가면서 촬영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어떤 카메라의 방향에서도 무난한 조명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를 천장에 배치하여 카메라 앵글에 걸리지 않는 정도에서 조명이 이루어져 연기자와 카메라의 워킹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것으로 부족할 경우 일부는 스튜디오 바닥에 Stand 조명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19.7.9 무대조명과 TV방송 영상 조명

무대조명은 대체로 조도가 떨어진다. 무대조명의 목적은 사람들이 직접 관람하면서 신비감을 맛보고 자신의 감정을 남에게 노출시키지 않으려는 심리와 부합된다. 우리의 눈은 어둠 속에서도 콘트라스트를 잘 감지하기 때문에 별다른 문제가 없다. 그러나 렌즈를 통해 감지되는 TV방송 카메라는 콘트라스트의 단계 구별이 매우 약해서 TV방송 영상으로 표현했을 때 해상도는 떨어지고 색상은 탁해져서 직접 관람한 무대와 전혀 다른 느낌의 차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TV방송 영상을 위한 무대조명의 조도는 전체적으로 높여 주어야 한다. 무대를 바라보는 관객은 한쪽 방향에 있어서 연기자에 대한 조명이 한쪽 방향에서 이루어지지만 TV방송 영상화면의 촬영은 다양한 방향에서 피사체를 촬영해야 하기 때문에 어느 방향에서든 입체적 조명이 필요하다.

 

19.7.10 전자적 조명

일반적으로 조명은 광학적으로 조명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지지만 컴퓨터그래픽스 장치나 영상효과장비는 화면의 필요한 부분에 White, Black 또는 Color가 가미된 인위적인 조명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명암의 반전효과를 시키는 Solarization, Posterization 등이 있고, 촬영하는 카메라 영상의 클리핑(Clipping) 방식이나 Knee Point 조종, 감마값의 조종으로 영상에 대한 전자적 조명효과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