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방송 시스템운용과 영상제작

22. TV방송 프로그램 제작관리(1)

정구언 교수 2022. 2. 1. 14:16

TV방송 영상제작의 기획단계, 촬영단계, 종결단계의 작업으로 실행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제작기간의 지연과 비용의 증대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예산 및 일정의 초과를 피할 수 있게 실행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TV방송 일정이 정해진 프로그램제작은 일정 안에 완성하기 위한 공정관리가 꼭 이루어져야 한다.

제작 실행관리에서 일정을 더 이상 축소할 수 없는 제작공정이 있고, 여유가 있는 제작공정이 있을 수 있다. 이 실행공정은 실행단계와 실행활동을 중심으로 일정계획을 철저히 준비하고 실천에 옮길 수 있어야 한다. 아마도 TV방송 프로그램제작에 충분한 경험이 있다면 다음과 같은 제작공정을 적요하여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본다.

 

22.1 TV방송 영상제작의 실행을 위한 공정관리

TV방송 프로그램 제작을 어떤 방법으로 진행하든 중요한 것은 전 단계를 끝내야 후속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전 단계의 실행에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상황이 일어나기 때문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이 서로 상대의 진행일정을 잘 알고 있을 수 있도록 누군가(AD 또는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를 전적으로 진행해야 원활히 제작할 수 있다.

모든 일정관리자는 감독과 긴밀히 밀착돼서 TV방송 프로그램의 시작부터 충분히 알고 대본이 나오면 내용을 파악하여 여러 영상 Scene과 관련된 기술스텝, 배우, 엑스트라, 소품, 세트, 의상, 조명, 특수효과 등등 정보를 체계화해야 한다.

제작일정관리의 단계마다 소요일자를 예측하여 정하는 것은 그 일을 맡고 있는 담당자와 충분히 의견을 나누어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TV방송 프로그램 제작업무의 각 활동기간은 낙관적인 일정기간, 일반적 일정기간, 비관적인 일정기간을 산출하고 가장 빨리 일을 착수할 수 있는 시점, 가장 늦게 착수할 수 있는 시점 등을 계산하여 모든 공정을 만들어 모든 스텝에게 알리고, 부득이하게 어느 한 단계의 일정차질로 공정이 변경될 때마다 즉시 참가하고 있는 모든 스텝에게 알려야 한다.

1. 각 단계의 프로그램 제작 착수시점과 완료시점, 진행 중인 단계와 완료된 단계의 확인

2. 배역된 연기자와 촬영되어야할 Scene 확인

3. 촬영장소와 시간에 대한 촬영 Scene 확인

4. 의상과 촬영 Scene 확인

5. 그 외에 장소 섭외, 각종 허가, 수송계획, 식사관계 등 잡무처리, 마무리 정리까지도 꼼꼼히 점검해서 반영해야 한다.

제각 대본이 마지막 회까지 완성됐다면 촬영 스케줄은 촬영 장소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주연배우의 일정에 따라서 스케줄이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Scene By Scene으로 촬영하는 사전작업이 필요하다. 외국에서는 주로 대부분 프로그램을 Scene By Scene으로 촬영하고 후반작업(편집)에서 마스터 프로그램이 완성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TV방송 프로그램제작 방법이 독특하다. 야외나 TV 스튜디오의 사전제작을 먼저 완성하고, TV스튜디오의 제작 작업이 진행되면서 사전제작 부분과 TV 스튜디오 제작을 연속해 붙여가 편집제작이 실행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TV 스튜디오 촬영 작업이 완료되면 전체의 마스터 프로그램이 완성된다.

이때 들어 가야할 필요한 음향(효과음, 음악 등)까지도 같이 편집된다. 매우 우수한 제작 집단만이 할 수 있는 작업이다.

이런 TV방송 프로그램제작 방법은 장단점이 있다. Scene By Scene으로 제작하는 방법은 음향과 효과음 등이 없이 제작되는 과정에서 연결되는 Scene에 대한 연기자의 행동, 감정의 몰입이 쉽지 않아 부자연스러울 수 있다. 우리가 많이 활용하는 후자(後者)의 경우 반대로 Scene의 연결에서 음향과 효과 등이 연기자의 행동, 감정 몰입에 많은 도움이 되지만 일반 음악과 효과음향 처리 등에 애로가 많다.

이 두 가지 방법을 절충해서 야외제작과 TV방송 스튜디오작업을 연결해 제작하는데 음악과 효과는 차후 최종 편집과정에서 다시 넣거나 보완해서 완성하는 방법을 권하고 쉽다.

여기서 기술하고자 하는 것은 작품성이 좋다든가, 흥행에 성공할 수 있다든가 와는 관계없이 세워진 제작과정의 세부계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작지연 방지와 비용의 최소화를 위한 점에 한정해서 다룬다. 아무리 좋은 작품의 TV방송 프로그램이라도 방송편성 일자에 맞추어 완성하지 못하여 방영되지 않는다면 목적을 달성했다고 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계획된 방송일정에 차질 없이 제작은 완성돼야 한다. TV방송 프로그램 제작계획을 세울 때는 최적의 제작과 최적의 비용을 생각해서 기획하지만 최적화 제작기간과 최적화 제작비용을 만족시킨다면 매우 바람직하다.

TV방송 프로그램 제작뿐만 아니라 모든 일이 시간과 비용을 얼마나 경제적으로 최소화하고 목적을 완수했는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계획된 일정을 단계마다 차질 없이 실행해야 하지만 때로는 잘못된 예측으로 차질을 일으킬 수밖에 없는 경우를 맛보게 된다. 정확한 계획을 세울 수 있는 것은 유사한 프로그램의 제작 작업이 반복될 때 경험에 의해 일정을 차질 없이 반영하고 수행할 수 있는 경험이 중요하다.

그러나 처음 해보는 제작은 비슷한 경우의 많은 경험으로 계획을 세우고 차질의 확률을 적게 할 뿐이다. 처음의 시도라면 더욱더 계획은 불안정해서 차질의 확률이 높아간다. 이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 매우 경제적이다. 따라서 계획은 일의 진척에 따라 여러 번 수정해야 한다.

한 번의 완성된 계획이 차질 없이 실행될 수 있는 경우는 있을 수 없다. 반복되는 경험적 작업에서 간혹 성취 수 있지만 일이란 환경의 지배를 많이 받게 된다. 일례로 야외제작에서 좋은 날이 계속되면 쉽게 끝날 일도 기후의 변화로 일정의 착오가 올 수도 있고, 비용과 물품의 준비의 시기를 놓쳐 제작이 지연되거나 대치해야 하는 경우도 흔히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작 계획일정의 변화로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때로는 잡혀진 계획이 앞당겨져야 할 때도 있는데 이 또한 비용과 직결된다. 새로 시작하는 일, 처음 시작하는 일은 늘 착오가 있게 마련이다. 이러한 일정과 물품 등의 수급계획을 자주 검토해야 차질을 줄일 수 있다. TV방송 프로그램 제작 중 드라마는 다른 교양 프로그램이나 쇼나 오락 프로그램의 제작보다 일반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똑같은 계획에 의해 실행될 수 없다.

제작계획의 수정은 정확한 앞뒤의 환경이 파악돼야 할 수 있다. 그러나 앞뒤의 환경을 쉽게 파악한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한 앞뒤의 제작환경을 일목요연하게 판단하고 수시로 계획을 판별하고 수정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TV방송 드라마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을 익히기 위해서, 제작 연출자(PD)나 감독 밑에서 일하는 조감독(AD)으로 여러 해(5년 내지 10여 년)동안 일하는 것은 드라마의 본질을 배우기 위한 것도 있지만 특히 제작 진행방법을 배우는데 많은 검험을 얻기 위함이다. TV방송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방대한 준비와 실천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없다면 아무리 좋은 작품이 있다 해도 적기에 완성되지 못해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다.

일부 건설공사에서 일정계획을 최적화하도록 실행하면서 완공함으로써 시간을 약 20%∼30%를 단축시킬 수 있고, 15%정도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PERT(Program Evaluation & Review Technique)와 CPM(Critical Path Methods) 공법을 활용하고 있는데 착안하여 TV방송 드라마 프로그램 제작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우리가 흔히 쓰는 종래의 간트(Gantt)도법 정도의 계획관리보다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프로그램제작으로 작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해서 연구했다. 컴퓨터의 발전으로 프로그램화 한다면 1주일에 한 번 정도 또는 그보다 더 자주 제작계획 수정을 실행할 수 있어 매우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본다.

 

22.2 제작 실행계획(實行計劃)의 기본개념(基本槪念)

일반 사회에서 모든 사업은 작업완료시기가 정해진다. 작업완료시기가 정해지지 않는다면 실행에서 고뇌할 가치가 없다고 본다. 어떤 사업이든 업무의 완료시기가 지연되면 비용이 더 많이 든다.

TV방송 프로그램 제작도 어떤 필요성에 의해서 시작된다. 또한 제작완료의 시기가 결정된다. 정해진 제작완료시기를 지키지 못한다면 중대한 방송사고의 문제가 될 수 있다.

우선 TV방송 프로그램 제작의 실행계획에서 세련화(洗練化)가 필요하다. 계획단계에서 몇 번이고 살펴보아 세련된 기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우리말에 시작이 반이라는 말은 세밀하고 세련된 기획이 준비되었다면 반 이상 완성됐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싶다.

대체적인 일반기획(General Plan)에서 세밀한 기획(Detail Plan)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처음부터 세밀한 계획을 만든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로 제대로 될 수도 없으며 오히려 계획수립에 방해가 된다. 처음에는 프로그램제작의 전반적이고 일반적인 거시적 기획을 수립하고, 세밀한 계획은 거시적인 단계의 하나하나를 분석하여 세밀한 계획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연출자(PD)나 감독은 작품의 완성도에 치중하다 보면 제작실행 통제가 잘 되지 않아 제작완료 시점이 지연될 수도 있다. 제작과정에 서 잘못을 계약자나 스텝들에게 책임을 전가할 수는 없다. 아마도 이 제작일정을 통제하는 데는 조감독(AD)의 협조를 구해야 할 것이다. 제작에 동참하는 모든 사람의 인화단결이 필요하다.

한편 여러 가지 계획을 준비하고 다듬어 제일 좋은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제작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게 되면 많은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출연자의 스케줄, 제작기간, 비용, 제작의 난이도, 일기예보 등 제작환경에 가장 적합한 모든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분석하고 계획을 선정하여야 한다.

약간의 욕심을 갖는 것은 좋지만 현재의 여건을 무시하고 무리한 의욕을 앞세우게 된다면 오히려 계획에 차질을 가져와 작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제작 실행계획과 실천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이점(利點)이 있다고 본다.

 

22.2.1 문제점의 명확화(明確化)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간트(Gantt)도법과 같은 일반적인 관리통제는 사전예측이 안되어 부진한 부분을 쉽게 파악하기 어렵고 어디를 통제하여야 할 것인지 막연하다. 단순한 작업의 흐름이 아니고 서로 연관된 흐름의 사전통제를 위해서는 문제점을 사전에 정확히 예측해야 한다.

여기서 도입하는 TV방송 프로그램제작 실행관리 방식은 제작실행의 활동단계에서 다음 단계에 연결되는 작업의 문제점이 최종목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사전에 예측할 수 있고, 빨리 적절한 통제로 프로그램 제작의 완성일자에 지장이 없도록 행동할 수 있어야 한다.

 

22.2.2 일정실행의 최적화 선택과 대안제시

다음 실행단계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겠지만 실행단계마다 시간과 비용을 검토하고 일정실행에서 최악의 경우, 최선의 경우, 보통의 경우로 나누어 일정을 고려해 본다는 것은 의사결정에 큰 도움이 된다.

대략적 계획에서 세분하여 구체화 계획으로 계획을 세련되게 한다. 또한 채택된 계획이 진행되면서 실천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즉시 계획을 수정하고 대체할 대안을 준비한다.

일례로 기상변화, 물품수급의 문제 등에 의한 실행일정의 연기가 발생하면 최종 완성 일자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문제가 있다면 어느 단계에서 일정단축이 있을 수 있는지 미리 검토하고 확인하여 차질이 없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22.2.3 정보교환과 의사소통

TV방송 프로그램제작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이 자기의 일정만 파악할 것이 아니라 다른 분야의 모든 단계의 일정을 잘 알고 있도록 해야 한다. 일정관리는 의사소통이 빈번하고 제작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자기 일정에 문제가 생기면 관리자에게 즉시 알려 모든 사람에게 해결방법을 찾아야 한다. 즉, 정보교환과 의사소통이 원활한 일정관리 실행에 적극 참여하여 누구나 현재의 진행과 미래의 일정을 충분히 알고 차질이 없도록 긴장해야 한다.

 

22.2.4 일정관리의 실천 강화

일반 일정관리보다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고, 전체 일정계획을 모두가 알 수 있게 하여 관리통제가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22.2.5 시간과 비용의 단축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확한 일정관리에 따라 시간을 약 20%∼30%를 단축시킬 수 있고 15% 정도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