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방송 시스템운용과 영상제작 64

09. TV방송 영상 카메라(Camera)(4)

9.7 카메라의 Working 방법 9.7.1 줌(Zooming) 줌 렌즈의 초점거리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면서 피사체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데 피사체에 접근하여 촬영하는 것이 좋으나 미처 접근할 수 없는 경우 줌인(Zoom In)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줌인을 많이 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면 초점심도가 얕아져 피사체와 배경과의 관계에서 배경이 흐려지는 보케(Bokeh)현상을 가져와 피사체를 강조하는 느낌을 줄 수도 있지만 배경과의 원근감이 없다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 줌잉(Zooming)의 워킹에는 줌인(Zoom In)과 줌아웃(Zoom Out)이 있다. ▲사용 목적 1. 피사체의 영상 크기의 변화 2. 퍼스펙티브(Perspective)한 극적인 원근감의 효과 3. 배경을 흐리게..

09. TV방송 영상 카메라(Camera)(3)

9.5 표준카메라 조정부(CCU또는 HDCU) 카메라 헤드(Head) 부분에서 케이블을 통해 보내진 영상신호를 받아서 최종적인 영상신호를 만들어 내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스튜디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표준카메라는 이러한 CCU가 있어 최종영상을 얻어 내는데 여러 조정 부위를 사용해 최상의 상태로 조정하여 좋은 영상을 얻도록 하고 있다. 일반 CCU의 구성을 크게 나누어 본다면 입력부(Input Processor), 출력부(Out Processor), 컬러 결합장치(Color-plexer)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진공관 사용하던 시절 표준카메라의 R,G,B 3관의 화소들의 위치가 일정하게 정렬(Registration)되기 위한 조정이 필요했지만 지금은 이미지센서가 한번 정렬되면 변화가 없다. 다음은 프..

09. TV방송 영상 카메라(Camera)(2)

9.4 TV방송 카메라 헤드(Camera Head) 과거 촬상관 대신 이미지소자로 오늘날 많이 알려진 CCD(Charge-Coupled Devices)와 CMOS(Complementary Metal Semiconductor)로 카메라의 렌즈뭉치를 통하여 들어온 피사체의 광학적인 영상신호를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과거에 많이 사용되던 대표적인 이미지 촬상관은 비디콘(Vidicon), 플럼비콘(Plumbicon)과 새티콘(Saticon) 등이 있었다. 물론 피사체의 빛이 들어와 프리즘을 통하여 3 방향으로 나누어져 R, G, B 각각의 CCD나 CMOS에서 전자적인 영상신호를 얻게 구성된 고급 카메라와 오직 1개의 CCD나 CMOS를 사용하는 베이어(bayer)방식을 채택한 경우도 많다..

09. TV방송 영상 카메라(Camera)(1)

이미 디지털 캠코더에서 카메라에 대한 기본적 이론을 익혔다. TV방송 영상신호의 95% 이상을 만들어 내는 장치가 비디오카메라(Video Camera)였다고 본다. 처음 TV방송이 시작됐을 때는 일반적으로 100% 카메라에 의해서 영상을 얻었을 것이다. 물론 카메라에는 필름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가 있지만 TV방송을 위해 모든 TV방송 영상은 방송용 비디오형식으로 변환하여야 한다. 다시말해 오늘날 영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장치는 TV방송용 카메라와 TV방송용 컴퓨터그래픽스, 일반 스틸카메라의 TV방송용 영상 촬영, 방송용 문자발생기, 그리고 스마트폰까지도 가능해졌다. 물론 TV방송용 카메라나 TV방송용 컴퓨터그래픽스, 방송용문자발생기가 아닌 영상이라면 TV방송에 알맞은 영상형식으로 바꾸어야 사용하여야 한다..

08. TV방송제작의 기본적 영상문법(5)

8.5.2 카메라의 삼각배치 앞서 여러 번 강조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샷은 인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주위 환경은 부수적이다. 피사체 간의 대화축이 형성되면 전면에 삼각형 형태를 이루고 카메라 위치를 선정하게 되는 기본배치는 인물을 중심으로 시선 방향의 양쪽에 2대의 카메라와 전면에 1대의 카메라를 배치한다. 이러한 삼각배치에는 TV방송 스튜디오에서 3대의 카메라를 동시에 사용할 때 흔히 사용되는 삼각배치 방법이다. 삼각으로 배치한 카메라의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사람의 관심을 가장 많이 갖게 하는 시선방향에 있다. 얼굴은 말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의 눈이 주는 관심 축을 형성하는 방향에 중점적인 샷을 구성해야 하고 몸의 자세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몸을 굽히거나 등을 돌리거나 기대는 행동은 부수적이고,..

08. TV방송제작의 기본적 영상문법(4)

8.4 TV방송 영상화면 구도의 평형 TV방송 영상화면 구도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이야기를 많이 했다. 헤드룸(Head Room), 루킹룸(Looking Room) 등의 여백을 주라는 것은 영상 틀에서 끌어당기는 힘의 작용과 함께 영상화면 구도의 무계중심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우리가 영상화면의 황금분할, 영상화면의 좌우배치 등등을 말하는 것은 화면의 균형을 잃지 않기 위함이다. 그림 2-3-17 인터뷰 대상자의 화면위치 TV방송 영상화면에서 느끼는 무게중심을 살펴보면 피사체는 무생물보다 생물이 무겁고, 단순한 것보다 복잡한 것이 무겁고, 정적인 것보다 동적인 것이 무겁게 느껴진다. 또한 내용의 중요도에 따라서 무게중심을 어떻게 배치하는 것이 영상화면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는지 판단하여 무겁게 여..

08. TV방송제작의 기본적 영상문법(3)

8.3 신(Scene)의 일치 TV방송 영상화면에서 신(Scene)을 연결해 갈 때 피사체의 화면배열이 잘못된다면 시청자는 혼돈과 거부감을 느끼게 된다. 즉 시간과 공간의 일치가 필요하다. 또한 영상화면에서 위치를 일치시켜야 하고, 피사체의 움직이는 방향과 시선방향도 일치시켜야 한다. 우리가 보는 TV방송 영상화면은 어떤 면에서 아주 작은 공간, 즉 모니터를 통하여 보고 있는데 그 영상의 연결이 어색하게 되면 보는 사람으로부터 알게 모르게 거부감을 주게 된다. 피사체의 동일한 장소, 동일한 시간, 동일한 스토리에서 인물인 피사체의 샷이 바뀔 때 신체상의 자세, 몸짓과 의상, 주변의 소도구 등의 일치가 매우 중요하다. 8.3.1 TV방송 영상화면의 일치 특히 Scene By Scene으로 TV방송 영상을 ..

08. TV방송제작의 기본적 영상문법(2)

8.2 TV방송 영상의 동적인 화면구도 TV방송 영상에서 Scene을 구성하고 있는 화면을 보면 정적인 것과 동적인 것이 한데 어우러져 연속성을 갖고 전개 된다. 우리가 알게 모르게 동적인 영상의 흐름에 따라서 느낌을 달리하고 있다. 영상화면의 움직임이 수평으로 이어질 때보다 대각선이나 수직으로 변화되면 조금 강렬한 느낌을 받는다.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바라보는 시야의 주목점(注目点)이 일반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지형지물을 관찰할 때도 가까운 곳에서 먼 곳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시선의 주목점을 이동시킨다. 일반적으로 정적인 피사체의 영상흐름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되면 우리의 눈에 자연스럽게 들어온다. 건물 앞에 붙여진 간판이나 현수막처럼 정지된 피사체의 촬영은 왼쪽에서 오른쪽으..

08. TV방송제작의 기본적 영상문법(1)

TV방송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카메라에 나타난 피사체를 그대로 촬영한다고 해 좋은 영상이 될 수는 없다. TV방송 영상제작에는 몇 가지 영상문법에 알맞은 촬영방법을 공부하고 활용해야 한다. 기본적 영상문법의 이해가 없이 기성세대들이 행하는 표현방법을 어깨 너머로 모방하여 여러 가지 흉내를 내는 것은 좋은 영상을 만들어내기 위한 학습방법으로는 부족하다. TV방송제작의 기본적 영상문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우선 영상화면을 구성하는 화면구도(畵面構圖)의 표현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어떠한 법칙을 정해 놓고 준수하는 것이 좋다고 보는 견해도 있고, 어떤 법칙은 효과가 없다면서 자기의 경험에 의존하는 사람도 있다. 한 가지 예로 바둑을 배우려면 무조건 상대와 두는 것보다 바둑의 정석(定席)을 미리 알고 ..

07. 디지털 캠코더의 활용(2)

7.2 SD, HD, UHD 선택 녹화 TV방송 카메라의 발달에 따라 아날로그 카메라에서 디지털 카메라로 신호체계가 바뀌면서 화면의 크기가 4:3의 시절에도 영화영상과비슷한 Wide Screen으로 보기 위한 16 : 9를 선택해 사용하던 시절이 잠시 있었다. 1890년대 시작된 35 mm 영화 키네스코프의 영상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TV방송 영상이 바로 4:3의 구도이다. 그러나 영화가 TV방송 영상과 차별화를 위해 와이드 스크린과 시네마스코프 형식으로 발전되었다. 그런데 일본 NHK가 1988년까지 처음 16 : 9의 아날로그 HDTV를 실용화 시켰고, 1989년 6월 3일 하이비전 실험방송을 시작했다. 그러나 미국과 유럽에서는 각각 디지털 처리방식의 HDTV 개발로 16 : 9의 디지털 HDTV형식을..